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베스트 글&영상1📜

오늘 본 최고의 글(슈퍼리치는 당신처럼 생각하고 행동하지 않는다)

by LoveGuardian 2022. 4. 1.

오늘 본 최고의 글(슈퍼리치는 당신처럼 생각하고 행동하지 않는다)

 

참고도서: 아비투스(인간의 품격을 결정하는 7가지 자본)

 

모든 새로운 환경에서 비롯된 불안감은 자신의 그림자를 뛰어넘어 높은 수준으로 도약하라는 격려이기도 하다. 이때 일곱 가지 자본 유형을 알면 도움이 된다. 이는 물질적, 비물질적 자원으로서 체계적으로 증가하며 우리의 아비투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기본적으로 컴퓨터 게임과 비슷하다. 검이나 약초 같은 아이템을 획득하고 그것으로 활동 반경과 야망을 키운다. (심리 자본, 문화 자본, 지식 자본, 경제 자본, 신체 자본, 언어 자본, 사회자본, 아비투스를 바꾸는 건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다.)

 

부와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 걸까?”

 

점박이 하이에나는 강한 암컷들의 지배 아래 최대 100마리가 서열을 나눠 집단을 구성합니다. 하이에나는 태어나는 순간 계급이 결정됩니다. 엄마 하이에나가 상류층에 속하면 그 새끼들 역시 상류층이 됩니다. 서열이 높은 암컷 새끼들은 태어날 때부터 생존에 매우 유리합니다. 암컷 우두머리는 사냥하지 않고 서열이 낮은 녀석이 사냥해온 먹이를 자식과 함께 나눠 먹기 때문입니다. 이런 특권 때문인지 서열이 높은 새끼들은 좋은 먹이를 더 많이 먹으며 더 빨리 성장합니다.

 

또한 상류층인 엄마 하이에나의 행동 방식을 보고 배우기 때문인지 전형적인 상류층의 행동 습성을 보입니다. 마치 인간사회처럼 어린 하이에나의 지위는 상속되고 더욱 쉽게 무리의 우두머리로 성장합니다. 도서를 통해 부, 성공, 품격, 권력을 얻는 엘리트의 모든 코드를 분석합니다. 아비투스는 프랑스 철학자 부르디외가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제2의 본성입니다. 하이에나 사례에서 보듯 내재화된 2차 본성은 인간만의 보이지 않는 계급 구조를 만듭니다.

 

암컷 하이에나처럼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행동 방식을 규정하고 우두머리에게 먹이를 가져다 바칩니다. 우리는 동일한 계급의 사람들과 어울리고 그들의 사고방식을 공유합니다. 부르디외는 말합니다. “계급의 차이는 곧 아비투스의 차이이며, 생활 방식의 차이로 나타난다.” 상류층의 부와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지, 계층 사다리가 어떻게 유지되는지 등 그 비밀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내가 쓰는 언어가 지위를 드러낸다. (언어 자본)

계급 상승은 인식의 전환입니다. 영화 기생충에서 기택(송강호) 가족은 자기들끼리 있을 때 상스러운 욕을 아무렇게나 사용합니다. 반면 박사장(이선균) 집에서는 정중한 언어를 사용하며 단어 선택에 각별히 신경 씁니다. 아직 성공하지 못한 사람은 언어적 공간 확보에 서툽니다. 성급하게 생각을 말하고 단어 선택에 부주의하죠. 일례로 자신이 평소 수많은 비속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알아차리지 못합니다. 반면 성공한 사람들은 정중하고 자연스러운 소통 방식으로 자신의 높은 지위를 알립니다. 그들은 어휘 선택과 발음, 말하는 속도와 시간에서 원하는 만큼의 공간을 확보합니다. 허리를 펴고 똑바로 앉으며, 천천히 말하고, 신중하게 발음합니다. 언어 자본을 확보하려면 차분한 목소리로 평소보다 약간 천천히 말해보세요. 숙고할 시간을 벌뿐 아니라 더 자신감 있고 통제력 있는 사람처럼 보이게 됩니다.

 

2. 전시회 입장권은 놀이공원 입장권보다 싸다. (언어 자본)

상류층은 대중이 돈을 주고 살 수 있는 지위의 상징이나 라벨 이벤트를 경멸합니다. 교양 있는 사람은 취향을 드러내되 절대 거기에 많은 돈을 쓰지 않습니다. 솔직히 전시회 입장권은 놀이공원 입장권보다 저렴합니다. 그런데도 대중은 전시회보다 놀이공원에 자주 갑니다. 문화자본은 어떤 자본보다 사회적 경계를 더 많이 만들고, 이 경계는 한 번의 도약으로 뛰어넘을 수 없습니다. 높이 오르고 싶다면 끊임없이 높은 곳의 코드를 이해하고 내면화해야 합니다. 문화란 결국 갱신, 정신적 성장, 더 나아가 의식 변화라는 의미에서 상징과 코드를 읽고 해석하고 바꾸는 것입니다. 신문을 보더라도 스포츠면보다는 문화면에 관심을 먼저 두세요. 이왕이면 경제, 문화, 고품격 디자인 스타일을 다루는 잡지와 도서를 구매해보세요. 이것만으로도 문화자본을 확장할 수 있을 겁니다.

 

3, 억지로 꾸미지 않는다. (신체 자본)

신체에는 우리가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고 현재 어떻게 지내는지 다 적혀 있습니다. 신체를 보면 자기 자신과 잘 지내는지, 돈과 취향, 더 나아가 권력을 얼마나 가졌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 철학자 부르디외는 뇌뿐 아니라 주름, 몸짓, 말투, 억양, 발음, 버릇 등 우리를 나타내는 모든 것이 몸에 기록된 역사라고 했습니다. 성공이 커질수록 행동이 자연스러워지고, 더 느슨해지며, 신체적 어색함이 줄어듭니다. 몸매, 피부, 걸음걸이, 미소, 몸짓 언어와 시선에 미묘한 차이가 생깁니다. 억지로 꾸미지 않으며 강요되지 않고, 자극적이지 않습니다. 그들은 자신이 원하는 건강한 신체조건을 유지하려 노력합니다. 신체와 정신에 주의를 기울이며 각자의 몸에 최적화된 루틴을 만들어 갑니다.

 

4. 돈을 다루는 방법을 공부하라. (경제 자본)

로또에 당첨된 사람을 부러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로또에 당첨된 사람들의 80%2년이 지나면 원점으로 돌아가거나 심지어 더 가난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큰돈이 주어지면 이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 전혀 모릅니다. 미국 심리학자 스티븐 골드바트는 예기치 않는 금전적 행운이 낳은 심리적 결과를 벼락부자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벼락부자들은 급격한 물질적 변화에 정신이 못 따라가는 데서 대부분 큰 혼란을 겪습니다. 반면 대를 이은 부자들은 재산만 물려받는 게 아니라, 돈을 투자하고 운용하는 방법을 어린 시절부터 저절로 배웁니다. 세상에는 졸부만 있는 게 아닙니다. 금욕하고 아낀 돈을 세상에 기부하고 세상을 이롭게 하는 수많은 부자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알고 있습니다. 선행을 베풀 때 행복감이 더 높아진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5. 지식에서 가치를 창조하라 (지식 자본)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구글의 정보량을 따라잡을 수 없습니다. 머릿속에 저장된 지식은 이젠 책장에 꽂힌 백과사전처럼 의미를 잃은 지 오래입니다. 지식을 소유했다고 믿는 순간 패배할 것입니다. 지금부터는 지식을 실용적으로 활용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창의적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매주 낯선 분야의 전문 지식을 만나보세요. 확장된 지식은 분명 이중으로 가치가 있을 겁니다.

 

부유한 사람은 그냥 오래 사는 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신체 조건을 유지하며 오래 산다. 좋은 옷과 세심한 자기 관리를 통해 자연스럽고 활기찬 아우라가 생긴다. 이런 아우라는 좋은 유전자가 아니라 균형 잡히고 우수한 생활 습관과 훨씬 더 관련이 많다. 지위가 높은 사람은 다른 사람이 말을 끊어도 느긋하게 반응한다. 끼어든 사람을 그냥 무시하거나, 감정적 동요 없이 조용히 저지한다. 그다음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하던 말을 계속 이어간다. 이런 태도는 청중에게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전달한다. “나는 내 말을 경청하라고 부탁할 필요가 없다. 내 말은 경청할 수밖에 없다.”

Loveguardian Goods https://loveguardian.creator-spring.com

 

Loveguardian KakaoView (친추) 함께 해 주실 거죠!http://pf.kakao.com/_syxmTb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