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본 최고의 글(돈의 속성, 자신이 금융 문맹인지 알아보는 법)

참고도서: 돈의 속성(김승호가 아는 모든 것을 풀었다)
스노우폭스 김승호 회장은 해외에서 가장 성공한 한국인 사업가 중 한 명으로 꼽힙니다. 1987년 미국으로 건너가 7번이나 사업 실패를 딛고 일어나, 전 세계 최대인 도시락 회사를 탄생시켰습니다. 현재 그의 회사는 국내 10곳, 전 세계에 1,400개의 지점으로 성장했으며 연간 4,0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그가 소유한 모든 회사는 부채가 단 한 푼도 없다는 사실입니다. 그런 그가 한 강연에서 ‘돈의 속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돈을 많이 벌면 부자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실제로는 돈 버는 능력과 모으는 능력, 쓰는 능력, 불리는 능력, 유지하는 능력이 각기 다름을 이해해야 합니다.” 돈만 많이 벌면 부자가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그 돈을 유지하고 불릴 수 없습니다.
돈의 속성 4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돈은 인격체다.
돈에도 생명이 있습니다. 돈을 단순한 물질적 대상으로 볼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인격체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돈을 소중히 여기고 합당하게 대우해주면 돈도 그 사람을 좋아합니다. 또 옳은 곳에 쓰면 다른 친구들도 데려오기도 합니다. 결국 이렇게 여기는 돈들은 자신을 떠나지 않고 함께 모여있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돈을 지나치게 사랑하는 사람은 돈도 그 사랑에 지쳐 도망가게 됩니다. 또 돈을 너무 무시하는 사람은 돈도 그 사람을 무시해 가지 않습니다. 아낄 때는 아껴주고 보낼 때는 흔쾌히 보내주는 사람이라면 돈도 그 사람에게 다시 오고 싶어 합니다. 그러니 돈을 인품을 가진 인격체로 여기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2. 돈은 중력과 같다.
중력은 무게가 무거울수록 더 강하게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돈에는 중력과 같은 힘이 작용합니다. 무게감이 크면 클수록 다른 돈을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컨대 우리가 10억을 목표로 할 때 먼저 1억이라는 돈을 모아야 합니다. 1억을 모을 때까지의 노력이 100이라고 가정할 때 사람들은 다음 1억을 벌 때도 똑같이 100의 노력이 들어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돈에는 중력의 힘이 작용하기에 1,2,3,4,5,6,7,8, 순서대로 늘어나는 게 아니라 1,2,4,8 이런 순으로 순식간에 불어나게 됩니다. 결국 돈은 중력과 같은 작용을 하기에 종잣돈을 만들어 불려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은 일시적으로 들어오는 큰돈보다 더 힘이 세다.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은 그 자체로 어마어마한 힘을 갖습니다. 앞에서 중력에 관해 이야기했는데 큰돈은 상대적으로 작은 돈보다 분명 중력이 셉니다. 그런데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은 한 번에 몰려다니는 돈보다 힘이 강합니다. 예컨대 매달 100만 원씩 버는 사람은 어쩌다 한 번에 1,000만 원씩 보는 사람보다 힘이 세다는 겁니다. 이를 캐쉬플로우(CASH FLOW), 즉 현금의 흐름이라 부르는데요. 일당으로 하루 30, 50만 원 돈을 한꺼번에 버는 사람들은 구조적으로 돈을 벌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일정하게 돈이 들어오지 않기에 이를 관리하고 모을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은 그 돈 자체로 강력한 힘을 갖습니다.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은 조직화된 돈이고, 그 돈은 다른 돈들을 이깁니다.
4, 고생해서 번 돈은 공짜 돈보다 힘이 세다.
현재 보이는 가치가 동일한 돈일지라도 돈이 벌어지는 과정에 따라서 그 돈의 무게가 전혀 달라집니다. 예컨대 고생해서 번 돈의 무게가 100kg이라고 한다면 누군가가 준 돈은 1kg도 안 되는 것입니다. 갑자기 복권 당첨이나 땅값이 올라 큰 부자가 되더라도 꾸준히 모은 적금하고는 전혀 다른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고생하지 않고 번 돈은 가볍게 날아 가버리고, 그냥 흩어져 버립니다. 고생해서 번 돈은 공짜 돈보다 그 힘 자체 그 중력 자체가 전혀 다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끝으로 한 사람의 성공 이면에는 많은 사람의 슬픔과 고생이 가시처럼 얹혀 있습니다. 가시를 다독이지 않으면 결국 그 가시는 내 몸을 찌르게 되며 많은 돈을 벌더라도 다시 흩어져 버립니다. 이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는 수많은 사업가나 창업가들은 불과 몇 년 만에 혹은 순식간에 다시 바닥으로 내려앉는 것은 당연한 이치입니다.
다음 용어를 잘 읽어보고 내용을 이해하고 남에게 설명할 만한 것에 표시해보기를 바랍니다.
(1)가산금리, (2)경기동향지수, (3)경상수지, (4)고용률, (5)고정금리, (6)고통지수, (7)골디락스 경제, (8)공공재, (9)공급탄력성, (10)공매도, (11)국가신용등급, (12)국채, (13)금본위제, (14)금산분리, (15)기업공개, (16)기준금리, (17)기축통화, (18)기회비용, (19)낙수효과, (20)단기금융 시장, (21)대외의존도, (22)대체재, (23)더블딥, (24)디커플링, (25)디플레이션, (26)레버리지효과, (27)만기수익률, (28)마이크로 크레디트, (29)매몰비용 (30)명목금리, (31)무디스, (32)물가지수, (33)뮤추얼펀드, (34)뱅크런, (35)베블런효과, (36)변동금리, (37)보호무역주의, (38)본원통화, (39)부가가치, (40)부채담보부증권(CDO), (41)부채비율, (42)분수효과, (43)빅맥지수, (44)상장지수, (45)펀드(ETF), (46)서킷브레이커, (47)선물거래, (48)소득주도성장, (49)수요탄력성, (50)스왑, (51)스톡옵션, (52)시뇨리지, (53)신용경색, (54)신주인수권부사채(BW), (55)실질임금, (56)애그플레이션, (57)양도성예금증서, (58)양적완화정책, (59)어음관리계좌(CMA), (60)연방준비제도 (FRS)/연방준비은행(FRB), (61)엥겔의 법칙, (62)역모기지론, (63)예대율, (64)옵션, (65)외환보유액, (66)워크아웃, (67)원금리스크, (68)유동성, (69)이중통화, (70)자기자본비율, (71)자발적실업, (72)장단기금리차, (73)장외시장, (74)전환사채, (75)정크본드, (76)제로금리정책, (77)주가수익률(PER), (78)주가지수, (79)조세부담률, (80)주당순이익(EPS), (81)중앙은행, (82)증거금, (83)지주회사, (84)추심, (85)치킨게임, (86)카르텔, (87)콜옵션, (88)통화스왑, (89)투자은행, (90)특수목적기구(SPV), (91)파생금융상품, (92)평가절하, (93)표면금리, (94)한계비용, (95)헤지펀드, (96)환율조작국, (97)M&A.
모든 배움의 시작은 용어 이해부터다. 금융 용어를 온 국민이 이해하면 어떤 정치가도 국민을 함부로 하지 못하며 부도덕한 사업가가 설 자리는 점점 줄어들 것이다. 금융 지식은 생존에 관련된 문제다. 고등학교 교과 과목에 금융 교육이라는 과목이 생겨 은퇴한 은행, 금융권 지점장들이 모두 선생님이 되는 날을 상상해본다.
[참고도서: 돈의 속성(https://coupa.ng/cbXUEk)]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Loveguardian Goods https://loveguardian.creator-spring.com
Loveguardian KakaoView 『(친추) 함께 해 주실 거죠!』 http://pf.kakao.com/_syxmTb
'💕오늘의 베스트 글&영상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본 최고의 글(우세와 열세를 아는 자가 이긴다) (1) | 2022.01.29 |
---|---|
오늘 본 최고의 글(‘먹는 장사’로 돈 벌 수 있을까?) (2) | 2022.01.28 |
오늘 본 최고의 글(이것을 ‘Cash Flow’라고 얘기해요) no.2 (3) | 2022.01.26 |
오늘 본 최고의 글(이것을 ‘Cash Flow’라고 얘기해요) no.1 (1) | 2022.01.26 |
오늘 본 최고의 글(스타트업은 로또가 아니다) (1) | 2022.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