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본 최고의 글(본능에 지배받지 않는 주체적인 삶)

참고도서: 본능의 과학(왜 우리는 결정적인 순간에 어리석은 선택을 할까?)
현재 미국인의 가장 큰 사망 요인은 심장병이다. 네 명 중 한 명은 심장병으로 사망한다. 그렇다면 우리 뇌는 오히려 고지방 아이스크림을 두려워해야 하지 않을까? 빅맥 햄버거를 보면 두려움에 심장박동 수가 치솟아야 하지 않을까? 초콜릿을 왕창 먹어 치우고 나면 멸종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맞서 열정적으로 운동해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현실은 그 반대다. 우리 몸은 생명을 위협하는 바로 그 음식을 ‘갈망’한다.
“조급하고 민감한 사람이, 마음 편하게 사는 방법” 정서적으로 여유로운 사람 특징?
정서적으로 여유로운 사람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시간에 쫓겨 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들은 같은 시간을 두고, 뇌에서는 ‘더 긴 시간’이라고 인지하는 놀라운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어떻게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걸까요? 예쁜 여자 또는 멋있는 남자와 같이 앉아 있으면 2시간이 ‘1분’처럼 느껴지지만, 뜨거운 난로 옆에 앉아 있으면 1분이 ‘2시간’처럼 느껴진다. 그게 바로 ‘상대성’이다. 아인슈타인이 남긴 ‘상대성이론’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 상대성이론처럼 우리가 체감하는 시간도 마찬가지로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지에 따라 많게 느껴지기도 하고, 적게 느껴지기도 하는 상대성을 띠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정서적으로 여유로운 사람처럼 주어진 시간을 확장하게 시킬 수 있을까요? 저자는 우리가 자꾸 조급 해지는 가장 큰 원인을 인간의 뇌 시스템과 발전된 현대 사회의 부조화에 있다고 설명합니다.
1. 가짜 생존 경보
인간의 뇌 시스템은, ‘생존 위협’을 대처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원래 인간은 자신을 해치는 맹수들로부터 살아남아야 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대 문명은 빠르게 발전되었고, 맹수의 위협은 이제 사라졌습니다. 그 대신, 우리는 다른 것에 ‘생존의 위협’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내일 마주쳐야 할 직장 상사, 오늘까지 처리해야 하는 업무, 방 안 치웠을 때 듣게 되는 가족의 잔소리 뇌에서는 이 모든 위협의 종류 따위는 구분하지 않습니다. 다 똑같은 생존 경보를 울리며 스트레스 높이고,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그래서 현대인의 뇌는 이런 위협들을 쉬지 않고 느끼다 보니, 종일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이죠. 저자는 이 속임수에 넘어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업무도, 직장 상사도. 시험도, 가족의 잔소리도 당신의 생존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습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볼까요? 바로 도입부에서 설명한 시간을 ‘상대적으로’ 더욱 여유롭게 만드는 방법들입니다.
2. 뇌를 ‘기록 모드’로 전환하라
뇌는 새로운 경험을 접했을 때 그 상황들을 ‘기록’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데요. 이때, 평소보다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똑같은 유튜브 영상을 볼 때도, 처음 볼 때보다 다시 반복해서 볼 때 시간이 더 빨리 가는 것을 경험해 보셨을 것입니다. 우리의 일상은 항상 똑같은 패턴으로 반복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나이가 들수록 반복되는 것들이 많아지고, 시간은 갈수록 더 금방 흐르는 것으로 체감되죠. 하지만 새로운 경험을 시도해 보는 것 자체는,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퇴근길을 한 번 다른 길로 가보는 것도, 집 안 가구를 새롭게 배치해보는 것도 뇌는 새로운 경험으로 받아들여, 시간을 늦추기 시작할 것입니다.
3. 지금, 이 순간
뇌는 주로 상상에 잠길 때 시간이 빠르게 흐른다고 인식합니다. 문제는 우리가 필요 이상의 시간을 아직 오지도 않은 ‘미래’를 상상하는 데 허비한다는 것입니다. 반면 뇌를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는 것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체감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늘려주는 아주 훌륭한 방법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마음이 급한 사람들일수록 더욱, 현재에 머물러있기보다 미래를 상상하고 걱정하며 시간을 낭비하며 새로운 경험(기록 모드)을 시도하기보다 익숙한 것들만 경험하느라, 항상 빠른 시간을 체감합니다.
페스티나 렌테(Festina Lente)라는 라틴어가 있습니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뜻입니다. 어쩌면 우리가 항상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껴졌던 이유는, 자꾸 급해야만 한다는 강박감이 만들어낸 허상은 아닐까요? 오랫동안 본능은 중요한 문제를 쉽게 해결해주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본능이 하는 일이 무엇인지 집중하고 의식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본능은 끊임없이 우리의 생산성을 낮추고 행복을 느끼지 못하도록 방해할 것이다. 물론 우리 모두는 본능에 개입해서 이를 재구성할 힘이 있다.
[참고도서: 본능의 과학(https://link.coupang.com/a/jqGXz)]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Loveguardian Goods https://loveguardian.creator-spring.com
Loveguardian KakaoView 『(친추) 함께 해 주실 거죠!』 http://pf.kakao.com/_syxmTb
'💕오늘의 베스트 글&영상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본 최고의 글(서른아홉, 자기 합리화에 한계점이 오다) (1) | 2022.02.11 |
---|---|
오늘 본 최고의 글(무례함의 비용 VS. 정중함의 효용) (1) | 2022.02.10 |
오늘 본 최고의 글(어떤 상황에서든 자유자재로 의견을 피력하려면) (1) | 2022.02.08 |
오늘 본 최고의 글(어른이라면 자신의 마음을 하나로 모을 수 있어야 한다) (1) | 2022.02.07 |
오늘 본 최고의 글(‘O-R-E-O MAP(오레오 맵)’ 어떤 글이든 이 공식대로만 쓰면 끝!) (0) | 2022.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