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베스트 글&영상1📜

오늘 본 최고의 글(고전의 대문을 여니 내 인생의 대궐이 보인다! 마음, 성공, 공부, 부, 미래… 인생에서 꼭 마주치는 질문들에 대한 동양고전의 답!)

by LoveGuardian 2022. 8. 19.

오늘 본 최고의 글(고전의 대문을 여니 내 인생의 대궐이 보인다! 마음, 성공, 공부, , 미래인생에서 꼭 마주치는 질문들에 대한 동양고전의 답!)

참고도서: 고전의 대문(인생에서 꼭 마주치는 질문들에 대한 동양고전의 답)

 

우리는 나서서 불합리한 세상을 바로잡고 인간 중심의 세상을 다시 복구해야 합니다!’ 이런 생각을 하는 원탁의 기사들이 송조육현(宋朝六賢), 즉 주렴계, 장횡거, 소강절, 정명도, 정이천, 주자였습니다. 서양 르네상스의 정신이 인간성의 해방과 인간의 재발견이었다면, 송나라 시대 원탁의 기사들이 새롭게 인간의 재발견을 시도하고 체계적인 이론을 확립한 신유교는 동양 문명의 르네상스였습니다. 적어도 우주의 중심은 인간이며, 어떤 신과 절대자도 인간을 그들의 편의로 이용할 수 없다는 자각이었습니다.

당신은 인생의 르네상스를 시도해본 적이 있는가? 불합리한 나, 부숴야 할 나, 소외된 나를 부활시키는 르네상스를 꿈꾼다면 동양고전의 대궐 안에서 답을 찾아보세요! 어느 시골집 앞마당에 대추나무 한 그루가 심겨 있었습니다. 시골 생활이 처음인 집 주인은 열심히 대추나무를 가꾸고 보살폈지만, 어느 해부터인가 이상하게 열매가 하나도 열리지 않았습니다. “, 이상도 하지. 이렇게 열심히 가꾸고 정성을 들이는데 왜 열매를 맺지 못하지.” 반면 옆집 건너편 할머니 집에 있는 대추나무는 한 해도 거르지 않고 풍성한 열매를 맺었습니다. 이에 궁즘증이 생긴 젊은이가 할머니를 찾아가 물었습니다.

 

할머니, 할머니 집 대추는 이렇게 많이 열리는데, 저희 집 대추나무는 왜 열매를 맺지 못하는 것일까요?” 이에 할머니가 말했습니다. “대추나무는 그렇게 잘해주면 열매가 열리지 않아.”,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러자 할머니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러지 말고 대추나무 밑에 개나 염소를 묶어놔”, “할머니, 죄송한데 저희 집에는 개나 염소가 없는데요.” 그러자 할머니가 다시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러면 지나가면서 몽둥이로 한두 대씩 때려!” 할머니의 말대로 지나가면서 작대기로 한두 대씩 툭툭 치니까 다음 해 놀랍게도 정말 많은 대추가 열렸습니다.

이것은 무슨 원리인가 생각해보니 바로 대추가 궁()해진 것이었습니다. 예전에는 편안해서 열매를 안 맺다가 위기를 느끼고서야 종족 번식을 위해 많은 열매를 맺은 것입니다.

1. ()

()은 막다른 곳에 이르러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상황을 가리킵니다. 그런데 인생에 중요한 전환기는 바로 ()’한 상태에서 일어납니다. 대추나무가 그러하듯 인간 역시 안락과 평화 속에서는 굳이 변화하려 애쓰지 않습니다. 부서지고 망가지고 궁해져야 그제야 변화를 도모합니다. 공자가 말한 궁즉변(窮則變)’ 힘들고 어렵지만, ()으로 나를 내몰 때 더욱더 단단한 내가 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독일어 중에 ‘앙스트블뤼테(Angstblüte)’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불안 속에 피는 꽃이라는 뜻입니다. 생명체는 자신의 생존이 위태로워질 경우 사력을 다해 마지막 꽃을 피우려 애씁니다. 즉 씨앗을 맺어 유전자를 후대로 전하는 것입니다. 식물이든 동물이든 가장 불안하고 힘들 때 가장 화려한 꽃을 피워낸다는 사실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2. 부활(復活)

여러분은 인생의 르네상스를 시도해보신 적이 있나요? 불합리한 나, 소외된 나, 변화하지 못하는 나를 부활시키셔야 합니다. 세상에는 영원한 정답은 없습니다. 시대와 환경의 변화 속에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하는 내가 있을 뿐이죠. 변화의 원리를 설파한 주역(周易)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궁즉변(窮則變)이오, 변즉통(變則通)이요. 통즉구(通則久)요, 구즉궁(久卽窮)이라.” 세상은 문제()가 생기면 변()하게 되고, 변하면 답()이 만들어지고, 답이 만들어지면 오래가다가(), 오래가면 또다시 문제()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문제가 있다는 것은 결국 해결할 답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이지 문제의식은 결국 답을 부르기 마련입니다.

 

위기지학(爲己之學). 타인의 평가나 시선에 맞춘 공부가 아니라 내가 행복해지기 위한 공부입니다. 노인이 되어 스페인어를 배우거나 예술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공부의 열정을 다하는 분들을 보면 위기 지학의 진면목이 보입니다. 그분들에게 공부는 성공의 도구가 아닌 행복 그 자체입니다. 자격증을 따고 졸업 증서를 통해 얻는 공부의 기쁨은 잠깐이고 공허합니다.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기도 하지만, 그 인정에 내 영혼의 만족감이 결여되어 있다면 만족감을 지속시켜줄 수 없습니다.

Loveguardian Goods https://loveguardian.creator-spring.com

Loveguardian KakaoView (친추) 함께 해 주실 거죠!http://pf.kakao.com/_syxmTb

댓글